안녕하세요 부지런한 농부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매달 항상 오픈런을 해야하는 서민금융상품인 최저신용자 특례보증에 대하여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최저신용자 특례보증이란
불법사금융 피해 방지를 위해 연체경험 등의 사유로 현재 정책서민금융상품(햇살론15) 이용이 어려운 최저신용자를 집중적으로 지원하는 보증부 정책서민금융상품 입니다.
최근 최저신용자 특례보증은 매달 오픈런을 해야만 대출을 받을 수 잇습니다. 통상 한도 소진 기간은 1~2일 정도였지만 최근 대출 창구가 점차 막히자 9월달부터는 한 시간 만에 한도가 마감되고 있습니다. 급전창구가 필요한 서민들의 대출 문턱이 높아지면서 중저신용자들이 불법 사금융으로 내몰릴 위기에 처해서 정부가 내놓은 상품이지만, 10월달에는 웰컴저축은행의 경우 5분 만에 한도가 소진됐습니다. 나머지 은행들도 한 시간 만에 마감됐습니다.
좋은소식으로는 내년부터 은행에서 대출금액을 점차 늘릴 예정이라는 소식이 들리고 있습니다.
대출 신청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둘 다 가능하지만 오픈 시간에 맞춰 앱을 이용하여 신청하는게 그나마 대출 받을 수 있는 확률이 높을꺼 같습니다.
최저신용자 특례보증 대상
- 연체경험 등의 이유로 햇살론15 보증이 거절된 자
- 개인신용평점 하위 10% (23년 4월 기준 KCB 670점 또는 NICE 724점 이하인 자)
- 원천징수액 기준 연소득 4,500만원 이하인 자
한도, 금리, 대출기간 및 상환방법
최대 대출한도는 동일인 기준 최대 총 1,000만원까지 대출이 가능합니다. 최초 이용 시 최대 500만원 이내만 대출대출이 가능하고 6개월동안 정상적으로 연체없이 정상이용 했을 때 추가대출 500만원까지 추가 대출 1회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최초 이용할 때 500만원을 대출을 받은 이후에 6개월 이상 연체하지않고 정상적으로 이용했을 경우 추가로 최대 500만원까지 대출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적용금리는 연 15.9%의 금리로 대출을 받을 수 있으며 보증료 포함한 단일금리 입니다. 우대금리 또한 있으면 우대금리는 상환기간 중, 성실상환시 1년마다 금리가 인하됩니다.
대출기간을 3년 선택 시 3%씩 금리가 인하되며, 5년 선택 시 1.5%씩 금리가 인하 됩니다.
대출 기간은 거치기간 1년(선택) + 상환기간 3년 또는 5년 입니다. 즉 1년 동안은 이자만 낼 수 있으며 나머지 3년 또는 5년은 이사 + 원금을 갚아야 하는 원리금균등 분할상환 방법입니다.
최저신용자 특례보증 상환을 완료한 경우에는 횟수 제한 없이 반복해서 대출을 받을 수 있습니다.
대출계좌는 최대 2개까지 보유 가능하며, 미완제 대출이 있는 경우 추가대출은 해당 미완제 대출을 실행한 은행으로 한정합니다.
취급은행 및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 지역
최저신용자 특례보증 상품의 경우 공급하는 은행이 4군데로 한정되어있습니다. 광주은행, 전북은행, 웰컴저축은행, DB저축은행 이 있습니다.
광주은행과 전북은행의 경우 매달 70억, 웰컴저축은행은 30억, DB저축은행의 경우 매달 5억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2024년부터 매달 공급하는 공급금액이 올라간다고 합니다.
DB저축은행의 경우 서울 거주자에 한정하여 대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원칙상으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둘다 신청이 가능하지만 현재 대출을 받으려는 사람들이 너무 많아서 오프라인 신청자들은 신청조차 못하고 있습니다.
대출을 받기전에 상담이 필요한 경우가 있을텐데 그럴 경우 각 지역에 있는 서민금융통합 지원센터에 방문하여 상담을 한 번 받아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전국 41개 서민금융통합 지원센터가 있으니 방문해보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출처 : 서민금융진흥원
이용절차
온라인 신청과 오프라인 신청의 차이는 방법의 차이만 있고 나머지 이용절차는 동일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출처 : 서민금융진흥원
제출서류
제출서류의 경우 대출 신청자의 소득과 직업에 따라 나뉘게 됩니다. 제일 좋은건 위에 설명드린 서민금융통합 지원센터에 방문하거나 전화를 통하여 필요한 서류들을 물어본 이후에 서류를 준비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아래는 제출서류를 한 눈에 정리하 표입니다.
출처 : 서민금융진흥원